현재 영국, 런던의 현대미술관 '테이트 모던(Tate Modern)' 앞에서 재미난 작품 하나가 전시되고 있습니다. 12월 11일부터 시작된 이 전시는 대형 얼음을 미술관 앞에 설치해놓고 녹는 과정을 바라보는 울라프 엘리아슨의 작품인데요. 작품의 전시 기간은 12월 11일부터 얼음이 모두 녹아 사라지는 날까지라는 재미난 형식을 가진 작품이기도 합니다. 대형 얼음을 작품으로서 도심에 설치해놓고는 녹는 과정을 바라보는 것만으로도 특이한 이 작품을 상당히 흥미롭게 만드는 요소가 하나 존재하는데요. 바로 이 얼음들이 모두 그린란드에서 직접 공수해온 실제 빙하라는 점입니다. '녹아내리는 빙하'라는 단어가 만들어내는 감정은 최근 요동치는 날씨를 피부로 느끼고 있는 현대인에게 다양한 감정을 들게 만드는데요. 요상한 ..
뱅크시가 또 일을 내버렸습니다. 영국 소더비 경매장에서 뱅크시 본인의 그림이 백만 파운드(정확히는 1,042,000 파운드 / 약 15억)에 작품이 낙찰되며 경매 낙찰을 알리는 의사봉 소리가 나는 것과 동시에 벽에 걸려있던 해당 작품을 파쇄하는 퍼포먼스를 터트렸는데요. 미술 경매 역사상 비슷한 사건조차 벌어진 적이 없어, 소더비 대표가 직접 '미술 경매 역사의 어떤 흐름으로 받아들여야 할지를 고민하고 있다.'는 말을 할 정도의 반향이 큰 상황이 펼쳐지고 있습니다. '정체가 밝혀지지 않은 어둠의 예술가’라는 타이틀과 너무나 잘 맞는 행보인데요. 작품의 출처부터 시작해서 이 퍼포먼스까지 본인의 메세지를 확실하게 날릴 줄 아는 대단한 작가라는 생각과 표현 외에는 아무런 생각이 나지 않을 정도로 대단한 예술가라..
문득 그런 생각을 한 번 했던 적이 있습니다. 만약 정밀 기술이 더 발전하여 화가의 그림을 그저 사진처럼 이미지로서 복제하는 것이 아니라 그림이 그려지는 과정마저 완벽하게 복제할 수 있게 된다면 어떤 상황이 벌어질까라는 생각이었는데요. 그저 눈으로 보기에 똑같은 복제가 아니라 그 과정마저 완벽하게 복제된 복제품과 원본에 대한 생각이었죠. 간단하게 예를 들어보자면 파블로 피카소와 같은 대가의 그림 그리는 과정을 녹화 한 후 붓의 움직임을 비롯한 붓에 묻어나는 물감의 양마저 세밀한 단위로 분석하여 정밀 기술로 만들어진 로봇팔을 이용해 녹화된 피카소의 그림 그리는 과정과 완벽히 일치하는 과정으로 그림을 복제한다는 것인데요. 이렇게 과정마저 완벽하게 복제된 그림과 피카소의 원본 그림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느냐에 ..
오늘 이야기해볼 마이클 크레이그 마틴의 작품 ‘오크나무’는 개인적으로 개념미술을 설명할 때 가장 많이 언급하는 작품인데요. 실제로 데미안 허스트 등 많은 미술인들에게 개념미술의 교과서라는 평가를 받고 있는 작품이기도 합니다. 작품 자체는 조금 어처구니 없어보일 수 있는 모습을 가지고 있지만 개념이 작품에 담기는 과정을 상당히 날카롭게 보여주는 작품인데요. 개념미술이라는 복잡한 요소를 유쾌하고 날카롭게 설명하면서 이해시켜보려고 하는 의도가 지금은 은퇴하였지만 2000년대 세계 미술 시장을 흔들었던 ‘YBA(영국의 젊은 작가들)’의 스승으로도 유명한 대학교수라는 그의 오랜 직업이 떠오르는 작품이기도 합니다. 마이클 크레이그 마틴(Michael Craig Martin)의 작품 '오크나무(Oak tree)' 개..
'끝'이라는 단어는 어쩌면 이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것에게 다가올 미래입니다. 작가와 작품도 언젠가는 끝이라는 단어를 만나며 죽음을 맞이하고 혹은 시간을 견디지 못하며 사라지게 되는데요. 작품은 시대적 이상이 변하는 특수한 상황이나 화재 등의 재난이 아니라면 그 가치에 따라 극진한 관리를 통한 보존의 노력과 함께 작가보다는 오랜 시간을 견뎌냅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작품에 대한 극진한 대접과 보존은 작품을 만드는 많은 미술가들의 바람이자 꿈이기도 하죠. 작가 자신이 죽은 후에도 작품이 계속해서 보존된다는 사실은 자신의 미술을 대변하는 작품이 그 가치를 인정받았다는 사실과 함께 자신의 죽음 이후에도 작품으로나마 미술의 한 부분으로 남아있을 수 있게 되었다는 안도가 들어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합니다. 몇몇..
선정적이면서 야한 이미지를 가진 작품들은 현대미술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모습입니다. 개인적으로는 선정적이고 야한 작품을 선호하지 않는 취향을 가지고 있는데요. 사실 지금은 '선호하지 않는다.' 정도의 표현을 하고 있지만 한때는 극도로 선정적 이미지를 가진 작품들을 피하려는 경향을 가질 만큼 선정적인 이미지의 작품들을 좋아하지 않았던 때가 있었습니다. 그런 시절 선정적이고 야한 이미지를 가진 작품들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보게 만들었던 작가가 있었는데요. 바로 '앨런 존스'라는 이름을 가진 미국 작가의 전시회를 보고 나서였죠. 2014년 경이었던 것 같은데요. 영국의 왕립 아카데미(RA)에서 앨런 존스의 전시회가 열렸던 해였습니다. 전시회는 당연히 아주 선정적이고 야한 작품들로 가득 차 있었는데요. 사..
'혼란스럽다.'라는 단어는 어쩌면 현대미술을 바라보는 관객들이 가지는 가장 흔한 감정일지도 모릅니다. 방문하는 전시회마다 각기 다른 모습을 보여주는 현대미술의 작품들은 처음 이를 접하는 이들에게 혼란 그 자체의 모습으로 보일 수밖에 없는데요. 사실 이런 혼란스러움은 현대의 관객들이 미술을 기피하는 큰 이유가 되기도 하면서 캔버스에 그려지는 그림과 정갈하게 조각된 조각상처럼 정확하게 틀이 잡힌 매체만이 존재하던 과거의 미술을 동경하게 만드는 하나의 이유가 되기도 하죠. 그런데 현대미술의 이런 혼란스러움은 과거와는 다르게 현대사회에서 나타난 새로운 특징으로 인한 것일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드는데요. 가끔은 정말 신기하다는 느낌이 들 정도로 작품이 만들어지는 당시 사회의 모습을 담아내는 미술이라는 존재는 어쩌면..
프랭크 스텔라(Frank Stella)의 '모양있는 캔버스(Shaped Canvas)' 이 작품은 미국의 작가 ‘프랭크 스텔라’의 ‘모양이 있는 캔버스’라는 작품입니다. ‘모양이 있다.’라는 수식어와 맞게 캔버스의 일반적인 형태라 할 수 있는 4개의 모서리를 가진 네모 모양과는 다른 독특한 형태를 가진 캔버스들인데요. 캔버스 내부에도 간결한 선들을 반복적으로 그려주면서 단순함과 반복성을 추구하는 미니멀리즘 형태의 미술을 잘 완성해낸 작품입니다. 위의 설명을 읽고 있자면 우리는 이상한 모양의 캔버스를 미니멀리즘 등의 설명과 함께 큰 반감 없이 이를 하나의 미술작품으로서 받아들이고 있는데요. 사실 그림을 그릴 때 필요한 재료에 불과한 캔버스를 요상하게 만들어 놓고는 이를 작품이라고 말할 수 있었던 시기는 의..
글쓴이의 작품 '포토페인팅(Photopainting)'그림과 사진, 이 둘은 알면 알수록 참 오묘한 관계에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돌을 들고 벽에 그림을 그렸던 선사시대의 동굴 벽화마저도 지금 우리가 말하는 그림으로 인정한다면 그림은 인류가 탄생한 그 시기부터 함께 했다 해도 과언이 아닌 오랜 역사를 가진 예술인데요. 그에 반해 약 200년이 채 되지 않는 역사를 가진 사진이라는 예술 속의 새로운 매체는 수만 년의 역사를 가진 그림이라는 예술에 거대한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이 사진이 가져왔던 그림의 거대한 변화는 사실 그저 변화를 넘어 그림의 역할 자체가 사라질 수도 있었던 생존의 위협에 가까운 상황을 연출하기도 했는데요. 200년의 짧은 역사를 가진 사진이라는 이 새로운 예술이 수만 년의 시간 동안 그..
마르셀 뒤샹(Marcel Duchamp)의 샘(Fountain) 작품이라 부르기 조차 애매한 겉모습을 가지고 있는 이 작품은 현대미술의 거장 ‘마르셀 뒤샹’의 대표작입니다. ‘샘’이라는 제목을 가진 작품으로 예쁘다고는 생각조차도 할 수 없는, 오히려 위생적이지 못하다 느껴지는 화장실에서나 만날 수 있는 남성용 소변기를 뒤집어놓은 작품이죠. 이렇게 ‘예쁘다’ 혹은 ‘아름답다’라는 단어와는 거리가 먼 겉모습을 가진 ‘샘’이라는 작품은 미술관의 삼엄한 경비를 받으며 전시장에 모셔져 있습니다. 화장실에서는 만질 생각도 하지 않는 변기통에 손이라도 대었다가는 경비원이 총을 겨눌지도 모르는 오묘한 일이 펼쳐지고 있는 것이죠. 심지어 현재 ‘샘’이라고 미술관과 박물관에서 전시되고 있는 이 작품들은 진품도 아닌 작가 ..
마르셀 뒤샹(Marcel Duchamp) '이제 회화는 망했어! 누가 저 프로펠러보다 더 멋진 걸 만들 수 있겠어?''Painting is washed up! Who will ever do anything better than that propeller?' 마르셀 뒤샹은 1912년 항공 박람회를 관람하고 난 후 친구에게 위와 같은 말을 했다고 전해집니다. '이제 회화는 망했어! 누가 저 프로펠러보다 더 멋진 걸 만들 수 있겠어?'라는 그 뜻이 무엇인지 은근한 궁금증을 유발하는 말이죠. 오늘은 이런 궁금증이 유발되는 마르셀 뒤샹의 말에 의미에 대해서 파헤쳐 보려고 합니다. 사실 회화보다 더 멋진 프로펠러라니 '그 말 뜻을 알아서 뭐 하나...'하는 생각이 드는 것도 사실이지만, 어쩌면 이 말은 마르셀 뒤샹..
어린왕자를 읽다 보면 어린왕자가 어른들의 관점에 대해서 이야기하는 부분이 나옵니다. 집이 가지고 있는 특징들을 들어보고 그 가치를 판단하기보다는 그저 비싼 가격을 듣고 '정말 좋은 집이겠구나.'라고 말하는 조금은 씁쓸하면서도 어쩔 수 없는 어른들의 현실적인 시선에 대해 이야기하는 부분인데요. 어린왕자가 말했던 어른들의 이런 시선은 예술품을 바라보는 우리의 시선과 참 비슷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림을 보고 개인적인 가치를 판단하기 보다는 그림의 가격을 듣고 그 가치를 판단하는 것처럼 말이죠. 사실 피카소의 그림을 보고 있자면 일반적인 취향을 가진 사람에게는 '아름답다.' 혹은 '예쁘다'라는 말을 듣기 어려운 모습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피카소의 그림 앞에서 '내 취향은 아니네.'라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