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지 스텁스(George Stubbs)의 그림 '휘슬자켓(WhistleJacket)' 이 그림은 '휘슬자켓'이라는 제목을 가진 '조지 스텁스'의 그림입니다. 런던의 중심지 트라팔가 스퀘어에 위치한 '내셔널 갤러리'에 보관, 전시되어 있는 작품인데요. 말의 역동적인 동작을 예리하게 캐치하여 표현한 작품이면서 높이 3미터, 길이 2.5미터에 달하는 그림의 거대한 크기로 인해 내셔널 갤러리를 관광 목적으로 다녀간 관객들에게도 강렬한 인상과 함께 많이들 기억하고 있는 작품이죠 실제 런던에서 유학하고 있는 학생들 사이에서는 '내셔널 갤러리의 말그림'이라 불리며 내셔널 갤러리를 비공식적으로 대표하는 그림이기도 하다는 후문입니다. 한 번은 우연한 기회로 BBC다큐멘터리를 통해 이 그림이 얽힌 재미난 이야기를 하나 본..
조지아 오키프(Georgia O'keefe)의 '흰 독말풀(Jimson Weed)' 꽃은 오래전부터 화가들에 의해서 그려져왔던 대표적인 사물 중 하나입니다. 아름다움을 상징하기도 하는 자연 그대로의 사물이기에 많은 화가들의 눈에 들며 그림으로 그려져 왔으리라는 생각이 드는데요. 그렇게 많은 화가들에게 그려져 온 꽃 그림들은 그림을 그려낸 화가의 인종, 출신 등 화가의 환경적인 요인에 따라 다른 의미로 해석되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합니다. 가끔은 극단적으로 아름다움을 상징하는 꽃을 그리는 것으로 아픔이라는 대조적인 감정을 표현했다는 해석을 받으며 여성이 그린 꽃은 사회적인 차별 속 여성의 아픔을, 흑인이 그린 꽃은 흑인이기에 받아야 했던 아픔으로 해석되는 등 작가의 배경에 따른 각각의 아픔을 가지게 되는 것..
앤디 워홀(Andy Warhol)의 스프캔(Soup can) 이미지 무한한 복제가 가능해진 프린팅 기술이 도입되면서 미술의 관객이 한층 더 넓어질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기 시작하는데요. 과거 한 명의 화가가 긴 시간을 들여 하나의 그림을 그렸던 것과는 달리 이처럼 빠르고 정확하면서 무한한 복제가 가능한 프린팅 기술이 미술에 도입되는 것으로 미술의 관객이 한층 더 넓어질 수 있는 환경이 완성된 것이죠. 과거보다 빠르게 많이 만들어지는 작품은 과거보다 많아진 대중이라는 새로운 관객과 만날 준비가 됐던 것이라고 할 수 있을까요. 과거 극소수의 작품이 극소수의 귀족층에게만 즐겨졌던 것과는 확실히 달라진 모습이었습니다. 이처럼 팝아트가 시작되며 프린팅 기술을 통해 많은 작품이 만들어질 수 있게 된 환경을 가진 것..
'익숙하다.'와 '안다.'라는 단어는 참 오묘한 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렇게 말하면 조금 말장난 같을 수 있지만 우리는 가끔 익숙한 것을 알지 못할 때가 있고 또 알고 있는 것에 익숙하지 않을 때가 있는 것처럼 말이죠. 익숙하게 행동하고 있으면서도 모르고, 알고 행동하고 있으면서도 익숙하지 않은 느낌과 비슷하다고 할 수 있을까요. 그런데 또 이런 오묘한 관계를 가진 '익숙하다.'와 '안다.'라는 단어들을 문화와 미술에 대입시켜 생각해보면 더더욱 흥미로운 부분들이 등장합니다. 문화라는 것 또한 늘 우리가 속해 있으면서도 너무나 익숙하여 문화와 함께하고 있다는 사실을 깨닫지도 못할 때가 있는데요. 본인이 속해 있는 문화가 가진 특징을 그 문화만의 특징이라고는 인식조차 못하고 있는 자연스러운 모습들이 이와..
갤러리 혹은 박물관에 전시된 작품들을 보며 가장 많이 드는 감정은 어쩌면 '이건 뭐지...?'와 같은 이해 못할 혹은 모르는 것에 대한 의문의 감정일지도 모르겠습니다. 사실 예술에 종사하고 있는 예술인들조차도 미리 조사를 하고 가지 않고서는 방문한 박물관 혹은 갤러리의 모든 작품들을 알고 있을 수는 없는 것이니 이와 같은 알 수 없는 작품 앞에서의 당황은 일반인과 예술인 모두에게 포함되는 상황이기도 한데요. 그런데 조금 더 황당하다고 느낄 수 있는 사실은 가끔은 우리를 당황하게 만들고 있는 작품을 만든 작품의 작가 본인조차도 본인의 작품에 대해서 알지 못할 때가 있다는 것입니다. 작가도 자신이 만든 작품에 대해 알지 못한다니 어찌 보면 참 황당한 상황이지만 작가도 모르고 관객도 모른다는 사실은 관객으로서..
최근 SNS에서 ‘돈이 들어오는 그림’이라는 타이틀과 함께 이 그림이 심심치 않게 보이는 것 같습니다. 중국의 한 거부가 그린 그림이라고 알려지며 크게 방긋 웃고 있는 얼굴과 많은 치아가 돈을 들어오게 해주는 주술적인 의미가 있다고 알려지며 부적과 같은 느낌의 그림으로 알려지고 있는데요. 사실은 주술적인 그림을 그리는 거부가 아닌 평범한 유명 중국의 화가 ‘위에 민준(Yue MinJun)’의 그림입니다. 사실 저는 ‘돈이 들어오는 그림’이라는 타이틀과 함께 공유되고 있는 이 그림을 SNS에서 처음 마주했을 때, 그림의 작가가 누구인지와 이 작가의 그림이 미술적으로 해석되는 방식과 내용을 알고 있었기에 ‘돈이 들어오는 그림’이라는 타이틀은 사실이 아니라는 것을 금방 알아챌 수 있었는데요. 타이틀이 거짓임에..
대작 논란이 일어나고 있는 조영남씨와 그의 그림들 최근 조영남씨의 그림 대작 사건과 함께 미술계가 시끌시끌합니다. 미술 전문가들을 포함한 다양한 이들이 내놓는 엇갈리는 의견들과 함께 전례 없는 미학적인 토론이 대중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모습이 굉장히 재미있게 다가오는데요. 대중적인 캐릭터를 가지고 있는 ‘조영남’이라는 인물의 작품 이야기이기에 더욱 이렇게 대중 전체의 의견이 반영된 폭넓은 이야기가 전개될 수 있지 않은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글을 본격적으로 시작해보기에 앞서 가장 큰 의문으로서 제기되고 있는 ‘화가 조영남이 제공한 아이디어를 그려낸 대작 화가의 대작 그림은 과연 조영남의 작품이 맞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제 개인적인 견해부터 먼저 말씀을 드려보자면, ‘인간적으로는 불편한 것이 사실이나 미..
오늘의 TV 미술 이유식에서는 피에로 만초니의 작품 '예술가의 똥'에 대해서 이야기해보았습니다. 미술 이유식의 22회, 예술가의 선택에서도 소개가 된 적이 있는 재미난 작품인데요. 사람의 신선한 분변(똥..)이 들어있다는 신선한 문구와 함께 제작된 90개의 캔 형태의 작품입니다. 1961년에 제작된 이 작품은 그 안의 내용물이 실제로 똥이냐, 아니냐에 대한 논란이 아직까지도 이루어지고 있는 아주 재미난 작품이죠. 피에로 만초니(Piero Manzoni)의 작품 '예술가의 똥(Artist's shit)' 1961년에 만들어진 작품은 이렇게 작은 통조림 캔 형태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30그램의 변을 담고 있다는 문구가 4개 국어로 적혀있는데요. 이 작품은 판매되던 당시 30그램의 금 시세와 같은 가격인 약 ..
오늘의 TV 미술 이유식은 현대미술의 거장, 피카소의 작품 '게르니카'에 대해서 이야기해보았습니다. 20살이 되지 않는 나이로 이미 그 능력을 인정받으며 유명한 화가가 된 파블로 피카소는 90여 년의 인생을 살며 총 5만 점의 작품을 남겼는데요. 20살이 되지 않은 나이에 이미 입체파의 초기 형태를 완성한 피카소는 평생 입체파 화풍의 연구에 몰두하면서도 사회적인 문제에도 많은 관심을 가졌었습니다. 그리고 이 게르니카라는 그림은 피카소의 평소 관심사를 아주 잘 나타내주는 작품이죠. 파블로 피카소(Pablo Picasso)의 게르니카(Guernica) 이 '게르니카'라는 작품의 이름은 사실 스페인의 지역명인데요. 1937년 나치에게 이 게르니카라는 지역이 폭격을 당하면서 공식적으로는 약 1700여 명이 사망..
오늘의 TV 미술 이유식으로는 우리 모두가 알고 있는 거장 '파블로 피카소'에 대해서 이야기해보았습니다.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피카소는 정말 우리 모두가 알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유명한 화가인데요. 하지만, 많은 분들이 왜 그의 그림들이 높은 미술적인 가치를 인정받고 있는지는 잘 알지 못하고 계신 것 같습니다. 사실 거대한 변화가 찾아온 시기에서 변화를 이끌며 시대적인 변화를 아주 잘 보여준 거장이기에, 그 그림들이 높은 가치를 가질 수밖에 없는 사실이 존재하는 것 같은데요. 오늘은 그의 일생을 짧게 둘러보면서 그가 어떤 시대적인 변화를 이끌고 보여주고 있는지를 살펴볼 수 있는 시간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피카소의 초기 작품들이라고 할 수 있는 '청색시대(Blue Period)' 작품들 스페..
오늘은 집착하는 사람들이라는 뜻의 이름을 가진 '스터키스트(Stuckist)'에 대해서 이야기해보려고 하는데요. '스터키스트'는 오직 회화만이 예술이라고 주장하는 회화 주의 예술가 그룹입니다. 현대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개념미술 등을 거부하는 시위를 펼치며 오직 그림만이 예술이라고 외치는 예술가 그룹인데요. 이외도 오직 회화 작품만으로 구성된 자신들의 독자적인 전시회 등을 펼쳐놓는 활발한 활동과 함께 회화 주의를 뜻한 '스터키시즘(Stuckism)'이라는 단어까지 만들어낸 역동적이면서도 재미난 예술가 그룹입니다. 회화주의자 스터키스트들이 현대미술 전시회외 시상식 등에서 반대시위를 벌이고 있는 모습 이들은 영국의 현대미술과 개념미술을 주도하고 있는 '영국의 젊은 작가들(YBA)'과 가장 눈에 띄는 ..
오늘은 저희 TV 미술 이유식에서 유난히 많이 언급되는 'YBA(영국의 젊은 작가들)'에 대해서 정리해보았습니다. '영국의 젊은 작가들'이라는 호칭과는 다르게 이제는 중년이 되어버린 작가들인데요. 중년이 되어버린 지금도 활발하게 활동하는 작가들이 대부분이지만, 그들이 젊음과 함께 '영국의 젊은 작가들'이라고 불리던 2000년대의 이야기는 정말 역동적이기만 합니다. 이런 그들의 역동적인 활동들이 당시 미국에 미술의 주도권을 빼앗기고 있던 유럽에게 다시 한 번 세계 미술의 주도권을 유럽으로 가지고 오는 기회를 제공하기도 했죠. 데미안 허스트(Damien Hirst) 이런 YBA를 설명하면서 가장 많이 언급될 수밖에 없는 작가는 바로 '데미안 허스트'입니다. YBA를 만들고 이끌었다고 할 수 있는 인물인데요...